구매할 집을 고르기 위해서는 우선 앞으로 살 지역을 결정해야합니다. 가족 구성원들의 필요나 요구에 따라서 지역이 정해질 것 입니다. 고려할 사항에는 직장인의 출퇴근 시간과 자녀들의 학군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. 우리 가족들에게 꼭 필요한 사항들을 정리해 놓으면 이사갈 지역의 후보 숫자를 줄이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.

고려 사항
각 가정마다 필요한 것들이 다 달라서 집 구매시 고려 사항을 모두 나열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합니다. 아래의 목록은 제가 개인적으로 생각할 때 필요한 것들을 예시로 적어본 것입니다. 아래의 예시를 참고해서 우리 집만의 우선 순위 리스트를 만들어 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.
1. 교통 및 기반 시설
출퇴근 시간, 인접한 도로, 전기, 난방, 케이블/인터넷 공급업자
2. 자녀 양육 및 건강
학군, 등하교길 안전, 공원, 놀이터, 병원, 체육시설 등
3. 안전 및 공공 시설
범죄율, 인구 구성, 홍수, 화재, 지진, 재난 지역 여부, 경찰서, 소방서, 관공서 위치 등
4. 세금 및 편의 시설
재산세, 수도세, 마트, 쇼핑몰, 은행, 약국 등
5. 기타 부정적인 요소
철도, 묘지, 대형 전신주, 송전선, 변전소, 파이프라인, 쓰레기 처리장, 소각장, 공장, 교도소, 공연장 등 소음 관련 시설
참고할 만한 사이트
도시별 Livability Score를 찾아볼 수 있는 사이트 입니다.
연방 재난 관리청 (Feder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, FEMA) 홈페이지 입니다. FLood Map Service 같은 재난 지역 정보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.
https://www.neighborhoodscout.com/ 또는 https://www.beenverified.com/
지역별 범죄율이나 성범죄자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사이트입니다. 상세한 정보를 위해서 회원가입이나 결제가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.
https://www.usgs.gov/products/maps/gis-data
각 주에서 미국 지질 조사국 (U.S. Geological Survey, USGS)의 정보를 바탕으로 제공하는 GIS (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) 데이터입니다. 지역에 있는 각종 시설에 대한 정보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.
복잡한 검색이 번거롭다면 구글 맵을 통해서 원하는 지역 주변의 시설 정보를 간단히 찾아볼 수도 있습니다. 또한 구글 맵으로 회사나 학교, 마트 등까지 이동하는데 걸리는 시간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지금까지 지역을 결정하기 위해서 생각해봐야할 사항에 대해서 정리해 보았습니다. 당장 급하게 집을 사야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몇 년 정도 원하는 지역에 렌트로 살아보는 것을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. 직접 지역에 정착해서 살다보면 내가 살고 있는 지역뿐만 아니라 주변 지역에 대한 정보도 훨씬 직접적으로 얻을 수 있고, 실제로 우리 가족의 라이프 스타일과 잘 맞는 지역이 찾아질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.
'미국 생활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미국 건강 보험 용어 정리 (1) | 2023.05.20 |
---|---|
미국 주택 구입: 어디에 살까? 우리 가족에게 맞는 집 종류 결정하기 (0) | 2023.05.12 |
미국 주택 구입: 단계별 가이드 및 팁 (1) | 2023.05.12 |
한국 여권 온라인 재발급 신청 방법 (0) | 2023.04.05 |
미국에서 미성년 자녀 여권 만들기 간단 정리 (1) | 2023.04.04 |
미국에서 18세 미만 미성년 자녀 한국 여권 만들기 (0) | 2023.03.31 |
미국에서 16세 이하 미성년 자녀 미국 여권 만들기 (0) | 2023.03.14 |
댓글